- 거래가 심각하게 안 되고 있으며, 유가, 환율 안 좋고, 무역수지 안 좋음.
우리나라는 3대 수출 강국이며, 수출기업들 실적은 좋을 예정.
강남 땅값은 평당 1.5억 정도 * 대지지분 + 전세가
과거 정부에서 땅값을 많이 올려 놓음. 속도도 여전히 빠름.
- 땅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체력이 좋아서 금리 오른다고 땅 안 판다.
- 코로나 때도 상가들 공실 많았지만 매물 잘 안나옴.
- 추석 언저리 지나고 분위기 바뀔 것으로 보는 것 같았음(내 생각)
- 분위기가 바뀌는 기준으로 9~12억 주택 거래가 풀리는 시점 및 대구 분양경쟁률 1:1 넘는 시점 두가지를 봄.
- 시장을 볼 때 본인은 수요에 대한 추이를 보는데 그 기준은 소득 증가율을 주로 봄.
- 지금을 부동산 사이클로 보면 어느 시기로 보느냐? 야구 기준으로 7회말이 되어야 맞는데 지금은 4회로 되돌려 놨다. 시간은 자꾸 흐르고 재건축 아파트들 시기가 도래 하면 2회로 되돌아 갈지도 모른다. 이제 시작이다.(역시 상승론자)
- 거래가 심각하게 안 되고 있으며, 유가, 환율 안 좋고, 무역수지 안 좋음.
우리나라는 3대 수출 강국이며, 수출기업들 실적은 좋을 예정.
강남 땅값은 평당 1.5억 정도 * 대지지분 + 전세가
과거 정부에서 땅값을 많이 올려 놓음. 속도도 여전히 빠름.
- 땅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체력이 좋아서 금리 오른다고 땅 안 판다.
- 코로나 때도 상가들 공실 많았지만 매물 잘 안나옴.
- 추석 언저리 지나고 분위기 바뀔 것으로 보는 것 같았음(내 생각)
- 분위기가 바뀌는 기준으로 9~12억 주택 거래가 풀리는 시점 및 대구 분양경쟁률 1:1 넘는 시점 두가지를 봄.
- 시장을 볼 때 본인은 수요에 대한 추이를 보는데 그 기준은 소득 증가율을 주로 봄.
- 지금을 부동산 사이클로 보면 어느 시기로 보느냐? 야구 기준으로 7회말이 되어야 맞는데 지금은 4회로 되돌려 놨다. 시간은 자꾸 흐르고 재건축 아파트들 시기가 도래 하면 2회로 되돌아 갈지도 모른다. 이제 시작이다.(역시 상승론자)
댓글0